대한민국 생존 번호 50선.

 

📞 꼭 외워야 할 대한민국 생존 번호 50선 – 이유와 함께 한눈에 정리

전화


평소 잘 몰라서 찾으려다 헷갈리는 고객센터·민원·긴급 신고번호, 한번 정리하면 평생 편해집니다. 분야별로, 상황별로 꼭 알아야 할 번호만 50개 엄선했고, **전화 걸어도 헷갈리지 않도록 설명도 꼼꼼하게 첨부**했습니다. 북마크 필수!

🚨 긴급·예보·범죄 신고

  • 119 (화재·응급의료): 전국 공통, 24시간 운영
  • 112 (경찰서): 긴급범죄 신고 – 즉시 출동 요청용
  • 113 (수사 신고): 사이버·전화금융 사기·기타 범죄 신고
  • 122 (해경): 해양 긴급 상황 신고 (예: 해상 구조·선박 사고)

🏛️ 정부 민원·민생 핫라인

  • 110: 정부 민원 통합상담 (ARS 연결) – 공공기관 민원, 365일 24시간.
  • 1345: 출입국관리 상담 – 다국어 9 AM‑10 PM, 해외  +82‑2‑1345.
  • 129: 보건복지 콜센터 – 건강·복지 상담, 지역 복지정책 안내.
  • 1600‑8172: 국민신문고 상담 – 일반 행정 민원 온라인 접수 지원.
  • 126 (국세청): 세금·홈택스 상담, 지역세무서 연결
  • 1300: 우정사업본부 – 택배·등기·우편물 문의
  • 1330: 한국관광공사 – 관광민원, 여행 정보, 통역 지원
  • 1335: 통신서비스 상담 – 인터넷, 유무선, VoIP 등

🏥 건강·약·노인의 삶

  • 129 (중복 안내): 보건복지 전용
  • 1339: 응급의료상담 – 응급 상황 | 24시간
  • 1365: 봉사정보센터 – 자원봉사 활동 문의
  • 1357 (아⋅청소년 지원): 소·청소년 활동 안내 및 상담

📡 소비·교통·환경 민원

  • 1379 (불공정거래): 불량식품, 계도요구 및 신고
  • 1377: 푸드뱅크·빈곤층 지원 안내
  • 1382: 주민등록 등민증 발급·분실 신고
  • 134: 여행자 정보 & 관광분쟁 상담
  • 1333: 교통정보 (도로·철도·항공)
  • 128: 환경오염 신고 (대기·소음·수질)

🏠 공공요금·세무·관세

  • 123 (한전): 전기사고 신고·세금 상담
  • 125 (관세청): 수입신고·밀수 신고 ·ARS→10·20번.
  • 02‑3438‑5113: 관세청 고객상담센터 – 직접 상담 예약 필요.

🌐 외교·영사·해외여행 지원

  • 외교부 대표 02‑2287‑1115 (영사 긴급·일반 문의).
  • LA 영사관 비상 +1‑213‑700‑1147 (업무 외 사건·응급).
  • 110 or 정부민원(ARS): 해외 주제 민원은 110 연결 후 안내

🕵️‍♂️ 부패·민원·공익신고

  • 110: 민원콜센터 → 부패신고 등 연결
  • 1600‑8172: 국민신문고 민원 및 공익신고 처리 의뢰.
  • 182: 실종아동 신고 – 즉시 수사 개시

🛠️ 생활 TIP – 언제 어디서 걸어야 할까?

  • 📌 **휴대전화 → 국번 없이**: 예) 119, 110, 1345 등 3자리 번호
  • 📌 **집 전화나 서울 번호 아님 → 02 붙이기**: 예) 02‑2287‑1115
  • 📌 **통합 ARS → 원하는 분야 연결**: 예) 110 누르고 3번은 복지, 4번은 경찰 등 안내에 따르기
  • 📌 **외국인 유학생·출장자**: 1345 다국어 지원 9 AM‑10 PM (한중영 등 20개 언어).
  • 📌 **관광객은 1330, 실종아동은 182** 전용
  • 📌 **업무 전용번호는 9 AM‑6 PM 기준** → 응급상황 땐 119·112 등 사용

최종 업데이트: 2025년 7월 9일

관련 태그: 긴급신고, 민원번호, 고객센터, 해외영사, 공공요금, 통관번호, 관광정보, 실종아동, 생활번호, 통신상담